외부, 내부 모듈 간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 ⭐⭐
인터페이스 설계서
이 기종 시스템 및 컴포넌트 간 데이터 교환 및 처리를 위패 각 시스템의 교환되는 데이터, 업무, 송수신 주체 등이 정의된 문서이다.
인터페이스 목록
상세 기능 인터페이스 정의서 주요 항목
인터페이스 설계서의 내/외부 모듈의 기능 확인
구분 1. 인터페이스 정의서를 통한 기능 확인
대상 1. 시스템 인터페이스 정의서 : 인터페이스 정의서를 통해 내외부 모듈의 기능 확인
대상 2. 상세 기능 인터페이스 정의서 : 상세 기능에 대한 내외부 모듈의 기능 확인 가능
구분 2. 정적, 동적 모형을 통한 기능 확인 : 인터페이스가 표현된 정적, 동적 다이어그램을 통해 내외부 모듈 기능 확인 가능
외부 및 내부 모듈 연계를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식별 ⭐⭐⭐
EAI 방식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를 전달, 연계, 통합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솔루션
비즈니스 간 통합 및 연계성을 증대시켜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각 시스템 간의 확장성을 높여 줄 수 있다.
EAI 구축 유형
ESB 방식
버스를 중심으로 각각 프로토콜이 호환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의 통합을 느슨한 결합 방식으로 지원하는 방식
EAI와 ESB 특징
외부 및 내부 모듈 간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상호 연계하고자 하는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가 되어야 할 범위의 데이터 형식과 표준을 정의하는 활동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절차
- 데이터 인터페이스 입출력 의미 파악
- 데이터 인터페이스 입출력 의미 파악을 통한 데이터 표준 확인
반응형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 실기] V. 인터페이스 구현 -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0) | 2020.11.20 |
---|---|
[정보처리기사 - 실기] V. 인터페이스 구현 -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0) | 2020.11.20 |
[정보처리기사 - 실기] IV. 서버 프로그램 구현 - 배치 프로그램 구현 (0) | 2020.11.20 |
[정보처리기사 - 실기] IV. 서버 프로그램 구현 - 서버 프로그램 구현 (0) | 2020.11.20 |
[정보처리기사 - 실기] IV. 서버 프로그램 구현 - 공통 모듈 구현 (0) | 2020.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