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종류 ⭐⭐⭐
운영체제의 개념
운영체제는 사용자가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주는 소프트웨어
윈도우 운영체제
[ 특징 (지선자 오) ]
- GUI 제공 : 키보드 없이 마우스로 아이콘이나 메뉴를 선택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그래픽 기반의 인터페이스 방식
- 선점형 멀티태스킹 방식 제공 : 동시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운영체제가 각 작업의 CPU 이용 시간을 제어
- 자동감지 기능 제공 : 하드웨어를 설치했을 때 필요한 시스템 환경을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구성해주는 자동감지 기능 제공
- CLE 사용 : 개체를 현재 작성중인 문서에 자유롭게 연결 또는 삽입하여 편집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 제공
유닉스 운영체제
[ 특징 (대다 사이계) ]
- 대화식 운영체제 기능 제공 : 프롬프트가 나타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면 시스템은 그 명령을 수행하는 사용자 명령 기반의 대화식 운영체제 기능을 제공
- 다중 작업 기능 제공 : 다수의 작업이 중앙처리장치와 같은 공용자원을 나누어 사용하여 한 번에 하나 이상의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 제공
- 다중 사용자 기능 제공 : 여러 대의 단말이 하나의 컴퓨터에 연결되어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시스템을 사용하여 각각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제공
- 이식성 제공 : 90%이상 C언어로 구성되어 있고 시스템이 모듈화 되어있어서 다른 하드웨어 기종으로 쉽게 이식 가능
- 계층적 트리 구조 파일 시스템 제공 : 유닉스는 계층적 트리 구조를 가짐으로써 통합적인 파일 관리가 용이
리눅스 운영체제
리눅스는 유닉스를 기반으로 개발되고 소스 코드가 공개된 오픈 소스 기반의 운영체제
맥 운영체제
애플이 유닉스를 기반으로 개발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휴대용 장치를 위한 운영체제와 미들웨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리고 표준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는 운영체제
운영체제 기본 명령어 활용 ⭐⭐⭐
운영체제 제어
윈도우 운영체제 기본 명령어
리눅스/유닉스 계열 기본 명령어
운영체제 핵심 기능 파악 ⭐⭐⭐
운영체제 핵심 기능
- 메모리 관리 : 프로그램의 실행이 종료될 때까지 메모리를 가용한 상태로 유지 및 관리하는 기능
- 프로세스 관리 : CPU 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상황에서 현재 메모리 사용 부분, 메모리 입출력 순서, 메모리 공간 확보 등 프로세스에 대한 종합적 관리 비법
메모리 관리 기법 (반배할교)
프로세스 상태 (생준 실대완)
프로세스 상태 전이 (디타 블웨스)
프로세스 스케줄링
프로세스 스케줄링은 CPU를 사용하려고 하는 프로세스들 사이의 우선순위를 관리하는 작업
선점형 스케줄링 (SMMR)
하나의 프로세스가 CPU를 차지하고 있을 때, 우선순위가 높은 다른 프로세스가 현재 프로세스를 중단시키고 CPU를 점유하는 스케줄링 방식
- SRT : 가장 짧은 수행시간 프로세스 우선 수행
- MLQ (다단계 큐) : 독립된 스케줄링 큐
- MLFQ (다단계 피드백 큐) : 큐마다 다른 시간 할당량, 마지막 단계는 라운드 로빈 방식 처리
- ROUND ROBIN : 균등한 CPU 점유시간 / 시분할 시스템을 사용
비선점형 스케줄링 (우기 HFS)
한 프로세스가 CPU를 할당받으면 작업 종료 후 CPU 반환 시까지 다른 프로세스는 CPU 점유가 불가능한 스케줄링 방식
- 우선순위 : 주요 / 긴급 프로세스에 대한 우선 처리 , 설정, 자원 상황 등에 따른 우선순위 선정
- 기한부 : 요청에 명시된 시간 내 처리 보장
- HRN : 기아 현상 최소화 기법
- FCFS : 도착한 순서대로 처리
- SJF : 기아 현상 발생 가능성
반환시간 및 대기시간 계산 방법 (반종도 대반서)
반환 시간 = 종료 시간 - 도착 시간 / 대기시간 = 반환 시간 - 서비스 시간
가상화
물리적인 리소스들을 사용자에게 하나로 보이게 하거나, 하나의 물리적인 리소스를 여러 개로 보이게 하는 기술
가상화의 종류
- 플랫폼 가상화 : 하드웨어 플랫폼 위에서 실행되는 호스트 프로그램이 게스트 프로그램을 만들어 독립된 환경을 만들어 낸 것 처럼 보여주는 기법
- 리소스 가상화 : 게스트 소프트웨어 위에서 사용자는 독립된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것처럼 활용하는 기법
가상화 기술 요소
- 컴퓨팅 가상화 : 물리적으로 컴퓨터 리소스를 가상화하여 논리적 단위로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 스토리지 가상화 : 이기종 스토리지 시스템의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 I/O 가상화 : 서버와 I/O 디바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미들웨어 계층으로, 서버의 I/O 자원을 물리적으로 분리하고 케이블과 스위치 구성을 단순화하여 효율적인 연결을 지원하는 기술
- 컨테이너 :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들이 단일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되도록 해주는 기술
- 분산 처리 기술 : 여러 대의 컴퓨터 계산 및 저장 능력을 이용하여 커다란 계산 문제나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
-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 : 물리적으로 떨어져있는 다양한 장비들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계장치의 가상화를 통한 가상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기술
클라우드 컴퓨팅
인터넷을 통해 가상화된 컴퓨터 시스템 리소스를 제공하고 정보를 자신의 컴퓨터가 아닌 클라우드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로 처리하는 기술
클라우드 컴퓨팅 분류 (사공하)
클라우드 컴퓨팅 유형
반응형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 실기] XI.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 네트워크 기초 활용 (0) | 2020.11.24 |
---|---|
[정보처리기사 - 실기] XI.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 데이터베이스 기초 활용하기 (0) | 2020.11.24 |
[정보처리기사 - 실기] X.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언어 특성 활용하기 (0) | 2020.11.23 |
[정보처리기사 - 실기] X.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기본 문법 활용 (0) | 2020.11.23 |
[정보처리기사 - 실기] IX.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현 (0) | 2020.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