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obile/🚀 Swift

[Swift] 상수와 변수

exception_log 2020. 12. 13. 22:08

<!-- 본 포스트는 '스위프트로 아이폰앱 만들기' 책을 공부하며 직접 정리한 글임을 밝힙니다. 

자세한 내용 공부를 위해서는 서적을 구매하여 공부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상수와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의미한다.

상수와 변수의 차이점

상수와 변수의 차이점

이름을 지정할 때 지켜야 하는 규칙

상수, 변수, 함수, 크래스의 이름을 지정할 때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지켜야 한다.

  1. 유니코드를 포함한 어떤 문자든지 사용할 수 있다. 단, 특수 문자, 수학 기호, 화살표, 개인용 (혹은 유효하지 않은) 유니코드, 선, 상자 그리기용 문자 등은 사용할 수 없다.

    ✔️ 사용할 수 있는 이름 : let π, var 책제목

    ✔️ 사용할 수 없는 이름 : var 2you, let -myTeam

  2.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

  3. 이름을 읽으면 무슨 역할을 하는것인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4. 명사와 동사 또는 전치사로 이루어진 단어를 연결하여 만든다.

  5. 클래스 이름은 대문자의 명사로 시작한다.

  6. 함수나 메서드 이름은 소문자의 동사로 시작한다.

  7. 변수나 상수는 소문자의 명사로 시작한다.

  8. 시작 단어를 제외한 모든 단어의 시작은 대문자로 하고 그 이외의 모든 문자는 소문자로 한다.

✔️ 이해하기 힘들게 지은 이름 : n, np, ntm, n, ns, nsisd, m, mp

✔️ 이해하기 쉽게 잘 지은 이름 : numTeamMembers, teamMemberCount

문자열 합치기

Swift에서 문자열 합치기를 할 때는 '+' 연산자를 사용한다.

lblHello.text = "Hello, " + "Ho-Jeong"
이렇게 하면 "Hello, " 라는 문자열과 "Ho-Jeong" 이라는 문자열을 합쳐서 lblHello.text에 저장 

스위프트에는 문장 맨 끝에 ';' 이 없나요?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문장 맨 끝에 ';'이 있어야 한다. 컴파일러에게 문장의 끝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일종의 약속이다. 하지만 스위프트에서는 특이하게도 문장의 끝에 ';'를 사용하지 않는다.

( ✔️ ';'를 붙인다고 해서 에러가 나는 것은 아니다. )

아웃렛 변수

@IBOutlet var lblHello: UILabel!

✔️@IBOutlet 으로 정의된 변수를 아웃렌 변수라고 한다. 여기서 IB 는 Interface Builder의 약자로, @IB로 시작하는 변수나 함수는 인터페이스 빌더와 관련된 변수나 함수라는 것을 의미한다.

✔️ UILable! : 선언하고자 하는 변수의 타입을 나타낸다. 위 예제에서는 레이블 객체에 대한 변수를 선언하는 것이므로 UILable 클래스 타입을 선택한 것이다.

✔️strong/weak : 아웃렛 변수를 추가할 때 나타나는 팝업창의 storage 항목에서 strong과 weak 둘 중에서 선택이 가능하다. 이 두가지는 메모리 회수 정책을 나타내는 키워드이다. 일반적으로 객체를 참조하기 위한 아웃렛 변수는 strong을 사용하는데, Xcode에서도 strong이 기본값으로 선택되어있다. weak으로 아웃렛 변수를 선언하면 변수 정의 앞에 weak 키워드가 추가되지만 strong을 선택하며 아무런 키워드도 추가되지 않는다.

@IBOutlet var lblHello: UILabel! // strong으로 선언
@IBOutlet weak var lblHello: UILabel! // weak으로 선언

✔️strong으로 선언된 변수는 다른 곳에서 참조하고 있을 경우 메모리에서 제거되지 않지만 weak으로 선언된 변수는 다른 곳에서 참조하고 있더라도 시스템이 임의적으로 메모리에서 제거가 가능하다.

✔️ 왜 이런 두가지 메모리 회수 정책을 사용할까? 메모리 관리 이슈 때문이다.

✔️strong으로 선언된 변수들끼리 상호 참조하는 일이 생길 경우 앱이 종료되기 전까지는 메모리에서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메모리 누수가 발생한다.

→ 이러한 경우 어느 한 변수 또는 모든 변수를 weak으로 지정하면 시스템에서 임의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상호 참조할 때에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메모리가 삭제될 수 있다.

액션 함수

@IBAction func btnSend(_ sender: UIButton) {
        lblHello.text = "Hello, " + txtName.text!
}

✔️ @IBAction : 객체의 이벤트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키워드로 @IBAction으로 정의된 함수를 액션 함수라고 부른다. 버튼을 누르거나 피커가 선택되는 등, 특정 객체에서 원하는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정해진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한다.

✔️func : 함수를 선언할 때에는 func 키워드 사용

✔️ (_sender: UIButton) : 액션 함수가 실행되도록 이벤트를 보내는 객체, 즉 여기서는 버튼 객체에서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해당 액션 함수를 실행시킬 것이므로 UIButton 클래스 타입을 선택한다.

✔️ lblHello.text : 레이블 객체가 가지고 있는 속성 중 텍스트 내용을 의미하는 속성

✔️txtName.text! : 텍스트 필드 객체가 가지고 있는 속성 중 텍스트 내용을 의미하는 속성이다. 끝에 붙는 !는 옵셔널 변수의 강제 언래핑을 의미한다. (해당 내용은 추후 설명)

반응형

'📱 Mobile > 🚀 Swi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ft] 집단 자료형  (0) 2021.01.20
[Swift] 흐름 제어 구문  (0) 2021.01.19
[Swift] Swift 기본 문법  (0) 2021.01.18
[Swift] Swift 개요  (0) 2021.01.17
[Swift] 배열, for 루프, while 루프  (0) 2020.12.22